메뉴 건너뛰기

알림마당new
대한민국 복지중심! 뛰어라 사회복지관!

복지동향

사회서비스이용권법 하위법령 개정,공포로 건전한 사회서비스 제공환경 조성  
- 법률개정(‘24.1월)에 따른 하위법령 정비, 올해 1월 3일부터 시행 -
- 사회서비스 제공인력 및 이용자에 대한 보호 근거 및 부정수급 제재조치 마련 -

  보건복지부(장관 조규홍)는「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(이하 : 사회서비스이용권법)」하위법령 개정안을 마련하여 공포하였다. 이는 지난해 1월 사회서비스이용권법 개정에 따른 후속조치로 동법 하위법령인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정비한 것이다. 

  * 법 시행령 공포(‘24.12.24)에 이어 시행규칙(’25.1.2) 공포

 ** 관련 보도참고자료 :  ① 사회서비스 고도화기반 조성을 위한 법률 개정(’24.1.2 배포)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② 사회서비스이용권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(‘24.9.4 배포)   

  사회서비스이용권법은 사회서비스 이용권(바우처)의 이용·관리에 필요한 기본적 사항을 정하고 서비스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법이다. 이번 법령 개정은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인력에 대한 보호 근거를 마련하고 부정수급 및 법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강화 등을 통해 건전한 사회서비스 고도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. 

  개정된 법령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
  첫째, 개정 법률에 따라 서비스 제공인력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제공인력에 대해 폭행, 상해, 성희롱 및 서비스 제공범위를 벗어나는 부당한 요구행위 등을 하는 것을 금지한다. 이를 위반하는 경우, 이용권을 중단하거나 1년 범위에서 이용권 사용을 제한*할 수 있도록 시행규칙을 개정하였다. 

 * (사례1)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이용자로 선정된 경우 ⇒ 이용권 중단(발급취소) 

   (사례2) 사회서비스이용권을 정당한 권한이 없는 자에게 판매ㆍ대여하거나 그 권리를 이전한 경우 ⇒ 6개월 이용권 제한  

  둘째, 이용자 또한 안전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공인력 결격사유*를 개정 법률에 명확히 규정하였고, 이에 따라 범죄경력을 조회할 수 있는 절차**를 하위법령에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.

 * 피성년 후견인,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형의 집행이 끝나지 않은 경우 등 

** 범죄경력조회 요청서에 범죄경력조회 대상자의 동의서를 첨부하여 관할 경찰관서의 장에게 제출(범죄경력회보서 발급시스템 CRIMS.police.go.kr 참조)  

 또한, 제공인력이 업무수행 중 위법행위 시 시장, 군수, 구청장이 제공인력의 자격을 취소하거나 1년의 범위에서 자격을 정지할 수 있도록 시행규칙을 개정하였다.

  셋째, 건전한 서비스 제공기반 조성을 위해 부정수급 및 법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한다. 그간 부정수급 발생 시 해당 부정수급액이 징수 대상이었으나 개정 법령에 따라 부정수급액에 가산이자*까지 징수할 수 있게 되었다.  

 * 3년 만기 정기예금 이자율로 해당 연도마다 1월 1일 현재 「은행법」에 따라 설립된 은행 중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이 적용하는 이자율을 평균한 이자율(‘25년 2.6%)

  아울러, 제공기관의 부정수급이나 제공인력의 폭행, 성폭력 등 발생 시 행위의 동기나 정도를 고려해 위반사실을 공표할 수 있도록 한 개정 법률에 따라, 공표 사항을 해당 시군구 홈페이지에 6개월간 게시하도록 시행규칙을 개정하였다. 

  이번 법령 개정안은 2025년 1월 3일부터 시행된다. 개정된 법률 및 하위법령 전문은 별첨 파일 및 보건복지부 누리집(홈페이지), 국가법령정보센터 누리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   * 보건복지부 홈페이지(www.mohw.go.kr)→정보→법령/ 국가법령정보센터(www.law.go.kr)

  보건복지부 유주헌 사회서비스정책관은 “이번 법령 개정으로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”라고 하며, “제공인력과 이용자 모두 현장에서 서로의 인격을 존중하고 부정수급 방지를 위해 적극 동참해달라”고 밝혔다.


List of Articles
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
522 [2025. 3.] 보건복지부 - 고독사 예방 위한 이웃연결단 활동 매뉴얼 제작·배포 file 협회 2025.03.05 377
521 [2025. 3.] 보건복지부 - 2024년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 발표 file 협회 2025.03.05 527
520 [2025. 2.] 여성가족부 - ‘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서’발간 file 협회 2025.02.12 384
519 [2025. 2.] 보건복지부 - 자살예방사업 및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중앙-지방 협력 강화 논의 file 협회 2025.02.12 101
518 [2025. 2.] 보건복지부 - 노인연령 전문가 간담회 개최 file 협회 2025.02.12 88
517 [2025. 2.] 보건복지부 - 복지 위기가구 지원사업 추진을 위한 민관 MOU 체결 file 협회 2025.02.12 97
516 [2025. 2.] 산업통상자원부 - 취약계층,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시 환급비율 확대 협회 2025.02.06 2604
515 [2025. 1.] 보건복지부 - 저출산·고령사회위원회, 제8차 인구비상대책회의 개최 file 협회 2025.02.06 97
514 [2025. 1.] 보건복지부 - 국민연금, 기초연금 올해 2.3% 더 받는다 file 협회 2025.01.16 224
513 [2025. 1.] 보건복지부 - 국민이 행복하고 건강한 복지국가 "2025년 보건복지부 주요업무 추진계획 발표" file 협회 2025.01.16 1453
» [2025. 1.] 보건복지부 - 사회서비스이용권법 하위법령 개정,공포로 건전한 사회서비스 제공환경 조성 file 협회 2025.01.07 548
511 [2024. 10.] 보건복지부 - 청년층 정신건강검진 확대 file 협회 2024.10.24 526
510 [2024. 10.] 보건복지부 -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협회 2024.10.24 2906
509 [2024. 9.]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 개소 file 협회 2024.09.26 573
508 [2024. 9.] 여성가족부 - 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 확대 file 협회 2024.09.11 562
507 [2024. 9.] 보건복지부 - 「연금개혁 추진계획」 확정 file 협회 2024.09.11 504
506 [2024. 8.] 보건복지부 - 2023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 결과 발표 file 협회 2024.08.28 954
505 [2024. 8.] 보건복지부 - 2025년 보건복지부 예산 편성, 전년 대비 7.4%↑ file 협회 2024.08.28 661
504 [2024. 8.] 보건복지부 - 「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」 시행령ㆍ시행규칙 제정령안 입법예고 file 협회 2024.08.21 448
503 [2024. 8.] 보건복지부 - ‘국립정신건강센터’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우울증 자가검진 file 협회 2024.08.13 397
목록
Board Pagination ‹ Prev 1 2 3 4 5 6 7 8 9 10 ... 27 Next ›
/ 27

나눔글꼴 설치 안내


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.

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
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.

설치 취소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